20대 대선기간 동안
SNS 사용자들은 남녀갈등과 세대갈등이 심각하다고 인식한 반면, 지역갈등의 심각성은 전보다 덜 느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습니다.
국가보훈처 산하 재단법인 '대한국인'이 온라인조사 전문업체 마크로밀엠브레인에 의뢰해 이번 달 3∼6일
SNS 사용자인 전 연령대 남녀 1천
69명을 상대로 조사한 결과, 1년여 전과 비교해 가장 눈에 띄게 높아진 사회갈등 유형은 남녀갈등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번 조사는 대선 기간
SNS 사용자의 인식 변화를 분석한다는 목적으로 이뤄졌습니다.
20대 대선 직전 나흘간의 설문 결과를
2020년
12월 진행한 같은 내용의 조사 결과(전국 남녀 1천
75명 대상)와 비교 분석하는 방식으로 이뤄졌습니다.
갈등 유형별 심각성 인지 정도를 5점 척도로 평가하는 문항에서 이번 조사 응답자들은 남녀갈등에 평균
3.92점을 줬습니다.
2020년 조사 당시
3.77점과 비교해 가장 큰 폭으로 높아졌습니다.
세대 갈등 역시
2020년
3.75점에서 이번에
3.85점으로 높아졌습니다.
반면 지역갈등은
3.68점에서
3.60점으로 떨어졌습니다.
이념·빈부·노사갈등은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는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조사를 진행한 숙명여대 사회과학대학 조정열 교수는 "전통적 계층 갈등은 큰 차이가 없었으나,
1970년대 대통령 선거 이래로 한국 정치를 흔들었던 지역갈등은 선거 기간인데도 평소보다 줄었다"며 "평소에도 시끄러웠던 남녀갈등은 선거 기간 가장 두드러지게 늘어났다"고 설명했습니다.
이번 조사 결과를
SNS 사용 빈도에 따라 고사용자와 저사용자로 나눠 분석했을 때, 매일 여러 번 쓰는
SNS 고사용자는 주 1회 미만으로 사용하는 저사용자보다 '우리 사회의 갈등이 심하다'고 인식하면서도
'SNS 소통과 토론이 사회 갈등 해결에 도움이 된다'고 믿는 경향이 강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사진=연합뉴스)